필리핀 세금 신고와 소득세율 총정리 – 2025 최신 가이드
필리핀은 영어 사용 환경, 합리적인 생활비, 따뜻한 기후 덕분에 많은 은퇴자와 이민자들에게 인기 있는 국가입니다. 그러나 정착을 고려한다면 반드시 이해해야 할 것이 바로 필리핀 세금 제도입니다. 필리핀은 개인소득세, 법인세, 부가가치세(VAT) 등 다양한 세금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, 외국인에게도 거주 여부에 따라 과세 범위가 달라집니다. 이번 글에서는 필리핀 세금 구조, 신고 절차, 소득세율, 공제 제도, 외국인 특례까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.


🏛 필리핀 세금 제도의 큰 그림
필리핀 세금은 국세청(Bureau of Internal Revenue, BIR)이 관리하며, 과세연도는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입니다.
주요 세목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개인소득세 (Income Tax)
- 법인세 (Corporate Income Tax)
- 부가가치세(Value Added Tax, VAT 12%)
- 원천징수세, 부동산세, 인지세 등
📝 세금 신고 절차
필리핀 세금 신고는 대부분 전자신고(BIR eFPS) 방식으로 진행됩니다.
- 개인 신고 기한: 매년 4월 15일
- 법인세 신고 기한: 회계연도 종료 후 120일 이내
- 납부 방법: 온라인 뱅킹, BIR 승인 은행 창구
- 미신고 시 불이익: 세액의 최대 50% 벌금 및 연체이자
📊 필리핀 소득세율과 과세표준
2025년 기준 필리핀 세금의 개인소득세율은 누진 구조를 따릅니다.
과세표준 (PHP) | 세율 |
---|---|
~250,000 | 면세 |
250,001 ~ 400,000 | 20% (초과분) |
400,001 ~ 800,000 | 30,000 + 25% (초과분) |
800,001 ~ 2,000,000 | 130,000 + 30% (초과분) |
2,000,001 ~ 8,000,000 | 490,000 + 32% (초과분) |
8,000,001 이상 | 2,410,000 + 35% (초과분) |
법인세율은 25%이며, 중소기업에는 20%의 우대세율이 적용됩니다.
💼 소득 유형별 과세
필리핀 세금은 소득 성격에 따라 다르게 과세됩니다.
- 근로소득: 급여에서 원천징수, 연말 신고 필요
- 자영업·사업소득: 누진세율 적용, 소규모 사업자는 8% 단일세율 선택 가능
- 투자소득: 배당·이자·양도소득에 대해 10~15% 원천징수
- 부동산 임대소득: 일반 소득세율 적용, 일정 규모 이하 사업자는 8% 단일세율 선택 가능
🎯 공제와 세금 감면 제도
필리핀 세금은 일부 공제와 감면 제도를 제공합니다.
- 기본 인적공제: 일정액 자동 공제
- 부양가족 공제: 자녀 4명까지 각각 25,000 PHP 공제
- 교육비·의료비 공제: 제한적 인정
- 기부금 공제: 등록 단체에 대한 기부금 일부 공제
- 해외 납부 세액공제: 조세조약에 따라 이중과세 방지


🏥 사회보험과 기여금
필리핀은 사회보장제도(SSS, PhilHealth, Pag-IBIG Fund)를 통해 근로자와 고용주가 부담금을 납부합니다.
- 근로자 부담: 급여의 약 4~5%
- 고용주 부담: 급여의 약 8~9%
외국인 근로자도 근로계약에 따라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.
🌍 외국인·이민자 특례
외국인이 183일 이상 필리핀에 거주하면 세법상 거주자로 분류되어 전세계 소득에 과세됩니다. 반면, 비거주자는 필리핀 원천소득에 대해서만 과세됩니다. 한국과 필리핀은 조세조약을 맺고 있어 이중과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.
💴 연봉별 시뮬레이션
구분 | 연봉 600,000 PHP | 연봉 1,200,000 PHP | 연봉 3,000,000 PHP |
---|---|---|---|
소득세 | 약 65,000 | 약 235,000 | 약 790,000 |
사회보험 (근로자 부담) | 약 30,000 | 약 60,000 | 약 150,000 |
총 세부담 | 약 95,000 | 약 295,000 | 약 940,000 |
실수령액 | 약 505,000 | 약 905,000 | 약 2,060,000 |
※ 환율(1 USD ≈ 56 PHP)에 따라 실제 금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필리핀 세금 Q&A
필리핀 세금 신고 시 해외 소득도 과세되나요?
세법상 거주자는 전세계 소득에 대해 과세됩니다. 단, 한국과의 조세조약을 통해 이중과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.
비거주자는 어떤 세율이 적용되나요?
비거주자는 필리핀 원천소득에 대해서만 과세되며, 일반적으로 25% 고정세율이 적용됩니다.
필리핀에서 부동산 임대 시 세율은 어떻게 되나요?
임대소득은 일반 소득세율이 적용되며, 일정 규모 이하 사업자는 8% 단일세율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.
사회보험료는 외국인도 내야 하나요?
네. 필리핀에서 근로계약을 체결한 외국인도 SSS, PhilHealth, Pag-IBIG 등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.
필리핀 세무사 비용은 어느 정도인가요?
개인 단순 신고는 5,000~10,000 PHP, 해외 자산이나 복잡한 사업 신고는 수만 페소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.
영주권자와 시민권자의 세금 차이는 있나요?
세법상 영주권자와 시민권자의 세금 체계는 동일합니다. 차이는 정치적 권리와 복지 범위에서 발생하며 세금 제도 자체에는 차이가 없습니다.
🔎 한국과 비교, 이민자의 이점
필리핀 세금은 고소득자에게 최고세율 35%가 적용되지만, 생활비와 물가가 낮아 실질적인 부담은 상대적으로 줄어듭니다. 또한 250,000 PHP 이하 소득은 면세 구간으로, 저·중소득자의 세 부담이 낮습니다. 한국과 비교했을 때 절세 혜택보다는 생활비 절감과 조세조약 활용을 통한 이중과세 방지가 주요 이점입니다.
📣세계 여러 나라의 세금과 이민자가 알아야 할 내용 (시리즈)
일본|호주|미국|캐나다|영국|독일|싱가포르|뉴질랜드|프랑스|두바이|더 많은 나라의 세금 정보 보기
Immigrate Insight는 해외 이민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한 전문 정보 플랫폼입니다. 각국의 비자, 영주권, 생활비, 정착 가이드를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와 함께 제공합니다. 처음 이민을 고민하는 분부터 실제 정착을 준비하는 분까지 모두에게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
글로벌한 삶을 향한 여정, Immigrate Insight와 함께하세요.